희귀질환이나 장기이식 수술환자에 필수 약물인 면역억제제. 하지만 부작용으로 백혈구 감소증을 감수해야 한다.

이런 가운데 백혈구 감소증을 유발하는 특이 유전자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발견돼 전 유전자 검사를 통해 면역억제제 사용여부와 약의 용량을 조절해 부작용은 줄이면서 치료효과는 높일 수 있게 됐다.

▲ 양석균 교수(왼쪽)와 송규영 교수
서울아산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 양석균 교수와 울산의대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송규영 교수팀은 면역억제제 사용 크론병 환자 978명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면역억제제 부작용을 유발하는 원인이 'NUDT15 유전자'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Nature Genetics에 발표했다.

교수팀에 따르면 이 유전자가 변이없이 정상인 경우 면역억제제 부작용이 거의 없었지만 1쌍 모두 변이된 경우에는 백혈구 감소증이 100% 나타났으며, 전신 탈모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어졌다.

특히 이 유전자 변이의 영향은 동서양인 모두에서 면역억제제 부작용의 원인으로 확인됐다.

기존 면역억제제 부작용의 원인유전자로 TPMT 유전자가 지목됐었지만 백혈구 감소 부작용이 훨씬 많은 동양인에서는 이 유전자 변이가 서양인보다도 적어 의문이었다.

특히 같은 면역억제제라도 백혈구 감소증 발생률은 서양인이 5%인데 반해 한국인은 최대 8배나 많아 면역억제제 치료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번 연구 대상자 978명 가운데 NUDT15 유전자 한쌍에 모두 변이가 있는 환자는 1.4%, 한쪽에만 있는 경우는 18%, 변이가 없는 경우는 80.6%로 나타났다.

백혈구 감소증 발생률은 각각 100%, 75.6%, 25.3%였으며 면역억제제 사용 8주째에는 각각 100%, 25.6%, 0.9%로 유전자 변이 여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전신 탈모 등의 부작용 역시 한쪽에만 변이가 있거나 변이가 없는 경우에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석균 교수(염증성장질환센터장)은 "면역억제제 사용 전에 NUDT15 유전자 변이 여부를 검사하면 면역억제제 사용 가능성 여부를 미리 알 수 있고 아울러 개별 환자들에게 적절한 용량을 처방함해 백혈구 감소증의 발생 위험도를 낮추면서 치료 효과는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면역억제제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중요한 연구 결과"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