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FR돌연변이 음성폐암에는 세포독성 항암제 먼저 투여
EGFR 돌연변이 음성 폐암환자에 대한 이레사 등의 표적항암제 효과 논란에 이정표가 될만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서 발병하는 폐암의 60%는 EGFR돌연변이 음성, 나머지 40%는 양성 환자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존 세포독성 항암제가 EGFR 표적항암제 보다 암의 진행속도를 늦췄으며[무진행 생존기간(중앙치) 6.4개월 대 4.5개월], 종양 크기도 더 많이 줄어들었다(반응률 16.8% 대 7.2%).
이러한 결과는 이들 항암제를 1차나 2차 치료제로 사용했을 때 모두 똑같이 나타났다.
특히 2개 치료군의 전체 생존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교수팀은 "이는 임상시험 이후에 실시한 치료 덕분"이라며 "향후 EGFR 돌연변이 음성환자에는 EGFR 억제제보다 기존 항암제를 우선적 사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