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류마티스 다발성 근통증에 대한 임상양상과 치료 예후에 관한 첫 보고서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서창희 김현아 교수팀은 국내 3차 의료기관 10곳에서 진단받은 류마티스 다발성 근통 환자 51명의 병력지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한 결과를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1월호)에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평균 발병 연령은 67.4세였으며 여자가 36명(71%)으로 남자 15명(29%)보다 훨씬 많았다.  발병시기는 겨울로 가장 많은 23명(45%)이 발생했다.
 
동반한 증상으로는 어깨 통증(88%)이 가장 많았으며 고관절 통증(60%), 말초 관절염(64%), 우울감(2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적혈구침강속도 40mm/hr 이상이 49명(96%), C-반응단백 0.8mg/dL 이상이 47명(92%)이었다.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사람은 당뇨병 환자 1명을 제외한 50명(98%)이었고 시작용량은 23.3±11.5mg/d였다.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와 함께 복합 투여하는 항류마티스 약제는 26명(51%)에서 사용했으며, 종류별로는 메토트렉세이트 16명(31.4%), 하이드록시클로로퀸 12명(23.5%), 설파살라진 3명(5.9%) 순이었다.

적혈구침강속도가 정상범위까지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4.1개월, 스테로이드 감량 중 질병이 악화된 빈도는 평균 1.5회였다.

증상이 완전히 사라진 사람은 8명(15.6%)이며 질병 악화 빈도는 평균 0.5회였다. 이들은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여한 환자군(1.9회)에 비해 질병 악화 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p=0.02).

연구팀은 "한국인 류마티스 다발성 근통 환자는 외국보다 아침에 일어날 때 관절이 뻣뻣해지는 조조 강직의 빈도는 적었으나 고관절 통증은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내 환자는 처음 스테로이드 사용 후 경과는 비교적 좋지만 이후 증상 완화는 쉽지 않음을 연구에서 확인한 만큼, 치료과정에서 스테로이드를 줄이면서 질병 악화를 보이는 환자는 장기간의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