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이식 후 면역반응으로 인한 신장손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이번 발견은  면역세포와 신장실질세포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면역반응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치료의 표적을 발견한 것으로 평가된다.

울산대병원 이종수, 조홍래 교수, 그리고 울산대 권병석 교수는 "이식수술 중 허혈 후-재관류 과정에서의 신장손상을 일으키는 면역반응체계에서 새로운 전달경로인 CD137L 역신호 전달경로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PNAS에 발표했다.

교수팀에 따르면 적출된 장기는  잠시 혈류 공급이 중단됐다가 이식 후 혈류가 재공급되는데 이때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이 증폭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이식된 신장에 손상이 발생하며 이로인해 이식된 장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이다.

교수팀은 "고위험 장기이식에서 초기의 허혈 후-재관류 과정에서 신장손상은 이식 후 기능과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를 적용하게 된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균혈증 혹은 다른 원인의 쇼크로 인한 급성 신부전 환자의 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