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 종합병원에서 치료받는 당뇨병환자의 70%는 약값이 올라가도 다니던 병원을 계속 다니겠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당뇨병학회는 29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뇨병 환자 인식조사 결과'를 소개하고 정부가 당뇨병을 경증 질환으로 분류해 실시하는 '약국 본인부담률 차등 적용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학회는 이번 조사 결과가 내달 1일부터 시작되는 이 제도의 효과가 없음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재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

조사에 따르면 환자들의 37%는 '합병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 30.9%는 '전문성과 신뢰감 때문에' 기존에 다니는 종합병원을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응답했다.

학회 보험법제 박태선 이사는 "이 제도의 취지가 대형병원 쏠림현상을 막기 위한 것에 있다는 점에서 이번 응답은 제도의 실효성이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학회 박성우 이사장은 "당뇨병은 약 복용만으로 원활한 치료가 잘 되지 않는데다 합병증 위험이 높다. 질환 특성상 보험 가입도 어려운데 환자들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 이사장은 또 "2002~2003년에 일본에서 당뇨병 환자의 본인부담률을 20%에서 30%로 인상한 결과,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들의 치료효율이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실패 사례를 제시했다.

이번 조사의 대상자는 한국당뇨협회가 주관하는 당뇨캠프 참가 환자와 서울 소재 8개 종합병원 환자 총 510명(남성 234명, 여성 276명)이다. 1형와 2형 당뇨병환자수는 각각 84명과 426명이고 50대 이상이 88.2%를 차지했다.

이들 환자는 이환기간이 평균 11.5년이고 5년 이내가 가장 많은 32.7%를 차지했다. 6~10년은 21.2%, 11~15년은 19.0%였다. 합병증이 있다고 응답한 환자는 3명 중 1명(170명)이었다.

이번 조사 기관은 의료전문 리서치 기관인 MARSlab이 실시했으며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 이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