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내몽골 지역의 초봄과 가을을 뒤덮는 황사가 사람에게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기도 하고 악화시키기도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용주 교수팀은 "황사가 발생하면 감기 발생과 관련한 염증매개 물질의 분비량이 증가한다"고 Inhalation Toxicology에 발표했다.

교수팀은 황사와 가장 흔한 감기 바이러스인 리노바이러스(rhinovirus)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첫 번째 연구 단계로서 황사 입자에 노출된 코 점막 상피세포에서 리노바이러스의 감염 및 염증 반응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 지를 관찰했다.

사람의 코 점막에서 상피세포를 취득한 후 이 세포를 배양해 각각 ▲ 실험의 기본 대조군인 일반 코 점막 상피세포(대조군) ▲ 황사미세먼지에 노출된 코 점막 상피세포 ▲ 리노바이러스에 노출된 코 점막 상피세포 ▲ 리노바이러스에 감염시킨 후 황사미세먼지를 노출시킨 코 점막 상피세포, 이와 같이 대조군과 3개의 실험군을 만들었다.

그리고 각 군에서 리노바이러스에 의한 감기의 발생과 관련된 주된 염증 매개 물질인 IFN-γ, IL-1β, IL-6, IL-8의 mRNA와 분비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감염되지 않은 코 점막 상피세포에서 염증 매개 물질의 복제율을 100%로 보았을 때, 황사에만 노출된 세포에서는 140-175%, 감기바이러스만 노출된 경우는 123-164%로 나타났다.

특히, 감기 바이러스 감염 후 황사를 노출시킨 경우에는 151-337%를 보여 아무것도 노출되지 않은 상피세포에 비해 약 2-3배 정도 많은 염증 매개 물질을 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사와 감기 바이러스에 동시 노출된 경우 감기 바이러스만 노출된 경우에 비해 감기 바이러스의 증식이 약 27.5 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황사가 감기 바이러스의 증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감기와 황사의 관계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 그 의미가 크며 지금까지 추측으로만 알려져 왔던 황사의 호흡기 건강, 특히 감기에 대한 악영향이 명백하게 밝혀졌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