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치료기술은 높아지고 있으나 행정적인 뒷받침과 사회적 문제는 10년전 그대로라는 지적이다.

대한간학회는 20일 '간의 날 10년을 맞아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기념식에서 간환자들의 열악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발표했다.

우선 10년간 국내 간질환 치료 수준은 선진국과 대등하게 성장했다. B형간염의 경우 90년대에는 치료제 부작용이 많고 치료효과가 낮아 적극적으로 사용되지 않았지만, 최근 라미부딘 등 내성이 적고 치료효과가 높은 약제들이 나오면서 만성B형 간염 치료율은 높아졌다.

간경변 역시 이러한 약제의 발전과 함께 CT촬영기술의 발전 덕분에 직경 1~2cm 이하의 작은 간암도 발견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환자에 대한 인식차와 개선점은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만성B형간염 환자의 경우 2명 중 1명은 고용시 거부를 당하거나 채용에서 탈락하는 등 고용관련 차별이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지적됐다.

2005년 48.6%였던 고용거부율이 37.3%로 약간 줄어들었으나 10명 중 4명은 여전히 사회적 편견에 좌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에는 멀쩡히 직장생활을 하다가 B형 간염에 걸려 해고당한 경우였다.

특히 B형 간염 영유아나 청소년의 경우 유치원이나 학교 기숙사에서도 입소 거부를 당하는 등 질환의 고통만큼 정신적 고통 역시 심각해 정부의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제시가 필요한 상황이다.

보험급여 역시 개선점이 많은 부분이라고 학회는 지적했다. 만성간질환의 주요 원인은 만성B형간염이라서 보험급여의 주 논의 대상은 B형간염이었다.

만성B형간염 환자가 항바이러스제 투여시 보험적용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은 간효소 수치가 정상의 2배 이상이면서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경우다.

하지만 만성B형간염으로 인한 간경변 환자의 경우 간세포 자체가 줄어들기 때문에 보험 급여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또한 질환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만성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고혈압과 당뇨병 등과는 달리 치료기간에 제한을 받고 있는 것도 문제점이다.

현재 보험급여 기준은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를 3년 이상 복용하면 이후 기간부터는 보험적용률이 줄어들어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약제에 내성이 생긴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라비부딘, 아데포비어라는 2가지 항바이러스제제의 병용치료를 권장하지만 보험급여는 1가지 약제에만 국한돼 있다.

간암의 경우에도 만성B형간염으로 인한 간세포암의 경우에는 치료비의 약 60%이하만 보험혜택을 받는 등 다른 암이나 중증질환 보장 혜택에 비해 적은 편이다.

유일한 치료제인 넥사바의 경우 신장암에는 보험적용되지만 진행성 간세포암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