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간 이식 신장의 생존율이 혈연간(부모-자식간) 이식 신장 생존율과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한 조직형이 잘 맞는 젊은 비혈연 공여자의 이식 신장 생존율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공여 장기 부족현상을 약간이나마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신장내과 양철우 교수와 이식외과 문인성 교수팀은 20년간 서울성모병원에서 시행된 배우자 제공 신장이식 77례와 조직접합형이 비교적 잘 맞는 부모 제공 신장이식 192례, 그리고 나이가 젊고 조직형이 잘맞는 비혈연 공여자에 의한 신장이식 386례 등을 비교했다.

그 결과, 배우자 공여자에 의한 신장이식 환자의 이식 신장 3년 생존율은 80.9%, 5년 생존율은 77.4%, 10년 생존율은 60.6%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혈연 공여인 경우에는 각각 81.6%, 73.1%, 58.5%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가 제공한 신장을 이식한 경우와도 비슷했다(86.8%, 80.3%, 167.7%).

연구팀에 따르면 일반적인 배우자 공여자의 조직적합형 일치 정도가 조직적합형이 잘 맞는 비혈연 공여자나 부모 공여자에 비해 불리한데도 이식 신장 생존율이 높은 것은 과거에 30-40%에 달하던 급성거부반응이 최근에는 10%내외로 줄어든 덕분이다.

그 이유로는 다양한 면역억제요법이 나왔고, 조직형 및 항체검출 기술이 발전된데다 급성 거부반응을 조기 진단할 수 있게 된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 정서적으로 비혈연간 이식환자에 비해 면역억제제 복용에 대한 순응도가 높고 부부라는 특성상 수술 후 합병증 관리가 철저하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장기이식센터 양철우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배우자와 같은 타인이 신장이식 공여자로서 충분히 적합하며, 의학적으로 불리한 조건의 공여자가 아님을 시사하는 중요한 임상연구이다. 따라서 부부간 이식은 공여자가 없어 이식을 하지 못하고 있는 만성 신부전 환자들에게 신장이식의 기회를 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SCI 논문인 “Nephron-Clinical Practice”에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