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관동맥바이패스술(CABG)을 실시해도 바이패스그라프트(이식혈관)의 25%는 폐색되므로 이런 증례에는 다시 개흉수술을 실시해 그라프트를 이식해야 한다. 하지만 CABG의 유효성을 높이는 새로운 장치인 GuardWire시스템’이 PercuSurge社(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에서 개발됐다. 이 시스템은 색전자의 유출을 막고 동시에 흡인해 제거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800곳서 연구 중

현재 미국에서 혈관성형술, 발룬, 스텐트, 기타 인터벤션용의료기구, 개흉수술 등 기존치료법과 GuardWire시스템의 유효성을 비교하는 무작위다시설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이 시스템을 연구하는 시설은 800곳. 그중 한 곳이 러쉬장로교 성누가의료센터(일리노이주 시카고)다. 이 센터심장카테터연구실 Gary Schaer실장은 『미국에서는 매년 약 40만례의 CABG가 실시되는데, 이중 4분의 1은 5년내에 협착 또는 폐색된다. 다시 개흉수술이 필요한 환자를 감소시키는 안전하고 침습이 낮은 심질환치료법을 특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GuardWire시스템은 바이패스그라프트의 한쪽을 발룬으로 폐쇄시켜(혈관성형 발룬이 바이패스그라프트속에서 확장했을 때) 발생하는 색전자가 하류로 흘러 관동맥으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준다. 2번째 발룬은 폐색부위에서 확장시켜 바이패스그라프트속에서 폐색의 원인이 된 물질을 혈관벽에 압박시켜 심장으로의 혈류를 회복시킨다. 그 다음 저음압흡인 카테터를 가이드와이어에 따라 통과시켜 혈관에서 잔존파편을 빨아낸다.

중도합병증 발생쉬운 낡은 그라프트

러쉬의료센터 심장인터벤션부 Jeffrey Snell부장은 『의사는 바이패스그라프트가 변질됐거나 낡아버린 환자에게는 혈관성형술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이것은 혈관성형술중에 색전자가 유리하여 하류에 있는 관동맥을 폐색시키면 중도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동맥을 협착 또는 폐색시키는 동맥경화소(플라크)와는 달리, 쉽게 부서지는 동맥경화소와 혈전이 합쳐지면 바이패스그라프트에 협착이 발생한다. 바이패스그라프트 속에서 혈관성형 발룬을 확장시키면 이 물질이 종종 유리한다. 관동맥에서 최초로 혈관성형술을 실시하는 경우 이 합병증은 별로 일어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올 봄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즈에서 개최된 미국심장학회(ACC) 연차회의에서 지크부르크심장센터(독일 지크부르크)심장학과 Eberhard Grube박사는 『SAFE(복재정맥 그라프트를 이용한 색전위험이 없는 혈관성형술)연구』에서 이 센터의 환자 연속 100례의 비무작위 연구 지견을 보고했다. 『SAFE연구』는 정맥그라프트를 이용한 CABG에서의 원위폐색방지카테터 시스템의 다국적 다시설연구평가이다.

MACE발생률 17.8%서 4.1%로 저하

Grube박사에 따르면, 복재정맥그라프트(SVG)의 주요 문제는 원위색전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것과 유리한 색전자가 소통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한다. 예를들면 통상적인 SVG를 이용한 CABG에서는 중도의 심이벤트(MACE)(사망, Q파 또는 비Q파 심근경색, 긴급 바이패스술, 목표혈관의 반복혈행재건으로 정의)의 발생률이 17.8%이다.
그런데 원위폐색방지 카테터시스템을 이용한 SAFE연구에서 검토한 환자(73례)에서는 MACE는 4.1%로 낮고 또 동맥경화소의 81%가 100㎛보다 작아졌다고 한다.
GuardWire£시스템의 2번째 응용은 경동맥 스텐트를 이용한 혈관성형술 중 원위색전에 대한 것으로 현재 다시설에서 연구가 실시중이다. 프랑스, 독일, 아르헨티나 9개 시설의 대상환자 83례에서는 지금까지 나타난 결과 이 방법의 기술적 성공률은 98.8%, 임상적성공률은 98.0%.
색전을 가두는 이 시스템의 구성부품은 다음과 같다.
*에라스토마계 색전발룬을 가진 약 0.356mm 및 약 0.457mm의 자유자재로 조작가능한 GuardWire 및 표준적 PTCA/PTA(경피적관동맥성형술/경피적혈관성형술)가이드와이어와 동등한 성능을 가진 근위 MicroSeal.
*원위폐색발룬을 확장·수축시키기위해 GuardWire£와 인터페이스접속된 MicroSeal어댑터.
*색전파편을 배출하는 내장부착 Export흡인 카테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혈관성형술중 심장전문의는 대퇴동맥을 경유해 관동맥에 카테터를 통과시킨다. GuardWire£시스템을 이용해 끝에 확장가능한 발룬을 부착한 작은 연성 와이어를 카테터내 폐색부위를 지나 바이패스그라프트가 관동맥과 교차되는 위치까지 전진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