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활량이 낮을수록 대사증후군의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는 폐기능이 크게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혈관질환의 발병과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건강한 사람에서도 이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입증됐다.

한림대병원 가정의학과 백유진 교수팀은 성인남성 4,583명을 대상으로 폐기능검사 및 생활습관 조사, 신체계측, 대사증후군 항목에 대해 검사한 결과 폐활량과 대사증후군 발병률은 반비례한다고 밝혔다.

대상자를 노력성 폐활량(FVC)2)에 따라 네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폐활량이 가장 큰 그룹(Q1)의 경우 1,120명 중 144명(12.9%)이 대사증후군이었다.

두 번째 그룹(Q2)은 1,128명 중 171명(15.2%), 세 번째 그룹(Q3) 1,127명 중 173명(15.4%), 폐활량이 가장 적은 그룹(Q4)은 1,208명 중 228명(18.9%)이 대사증후군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가진 그룹의 폐활량과 대사증후군이 없는 그룹을 비교하면 더욱 뚜렷했다.

즉 복부비만,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혈압, 혈당 등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개수 별로  각각 평균 폐활량을 비교한 결과, 위험인자가 없는 그룹의 폐활량은 평균 102.5%, 위험인자가 1개면 101.5%, 2개면 99.8%, 3개는 98.9%, 4개 이상은 98.3%로 나타났다.

교수팀은 폐기능 저하와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첫째, 비만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흉벽의 탄력이 떨어지고 기도의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폐활량이 낮으며 주로 제한성 폐질환의 양상을 보인다.

둘째, 폐활량이 낮으면 혈장 내 인슐린 농도와 인슐린 저항성도 증가해서 당뇨병의 발생이 눈에 띄게 증가한다. 그 이유로 저산소증으로 인한 인슐린 조절장애와 이로 인한 인슐린 분비의 영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셋째, 만성폐쇄성폐질환처럼 폐활량이 저하된 환자들은 전신의 저강도 염증반응지표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반응은 대사증후군에서도 관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