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바이오헬스 분야의 새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디지털 강화 등 5대 핵심과제를 선정, 발표했다.

핵심과제는 △데이터 기반 의료·건강·돌봄 서비스 혁신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활성 △첨단 융복합 기술 연구개발 강화 △바이오헬스 첨단 전문인력 양성, 창업 지원 강화 △법·제도 및 인프라 구축이다.

보건복지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강화하는데는 환자 중심의 의료·건강·돌봄 통합서비스 제공이라는 의료 패러다임 변화, 디지털·융복합 기술의 발전에 따라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첫번째 핵심과제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와 혁신제품의 발굴을 우선 지원해 디지털 전환과 신시장 창출의 마중물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활용과 의료현장에서 필요한 첨단 융복합 디지털, 인공지능 기술을 확산한다.

두번째인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활성화를 위해 향후 5년 내 연매출 1조원 이상의 신약을 2개, 의료기기 수출 규모는 약 2배 달성해 글로벌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도약한다.

정부는 지난해 2025년까지 K-바이오퍼드 1조원을 조성하는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내달에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 5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한다. 아울러 제약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확대를 위해 혁신가치를 보상하는 약가, 인센티브 확대,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 개선을 추진한다. 

의료기기 산업 수출 규모는 지난해 86억달러에서 2027년에는 160억 달러로 키워 전세계 수출 5위로 도약한다. 또한 한국의료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외국인환자 우수 유치기관을 기존 27곳에서 2배 이상인 50곳으로 늘리고 외국인환자 비대념 진료도 제도화한다. 내달에는 제1차 의료기기 산업 육성 및 지원 5개년 종합계획도 발표한다.

이밖에 첨단 융복합 기술 연구 개발을 위해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바이오헬스 계약학과를 기존 5개에서 8개로 늘리는 등 실무형 인재와 함께 의약품·의료기기 산업별 전문규제과학 인재도 양성한다.

디지털 전환을 위해 법과 제도, 인프라도 구축한다. 우선 바이오기업의 수출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최대 규모의 무역금융을 활용하고 지식재산 지원 및 해외 지식재산권 분쟁에 대해서도 지원한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제도와 신의료기술평가 유예제도 적용 대상의 확대도 검토된다. 중·장기적으로는 한시적으로 1~3년간 비급여로 먼저 사용한 다음 건강보험 등재 단계에서 의료기술을 평가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