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뇌질환인 뇌전증의 80%를 유전자로 진단할 수 있게 됐다.

KAIST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팀(제1저자 서울아산병원 김자혜 박사)은 극미량의 뇌세포에 존재하는 돌연변이 검출하는 방법으로 뇌전증을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신경학 연보(Annals of Neurology)에 발표했다.

뇌전증은 발작을 반복하는 신경질환이다. 유병률은 약 0.5~1%이며 전세계 환자는 5천만명 이상이다. 국내에서는 약 30~40만명으로 치매, 뇌졸중 다음으로 많은 신경질환이다. 

현재 미식품의약국(FDA)에서 허가받은 항경련제가 20개 이상이지만 발작을 조절하지 못하는 환자는 전체의 30%에 이른다. 

뇌의 과다 흥분을 억제해 발작 증상을 예방하고 조절할 뿐 근본 원인을 치료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뇌전증 발생 원인은 유전, 뇌염, 뇌종양 등 다양하지만 환자의 과반수는 원인을 특정하지 못하고 있다.

국소피질이형성증은 태아의 뇌 발달과정 중에 생긴 이상으로 대뇌 피질이 국소적으로 비정상적인 구조를 보이는 대표적인 소아 난치성 뇌전증이다.

현재 치료제는 없고 뇌절제술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수술 후 재발률이 30~40%로 높고, 수술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적지 않다.

기존에는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는 신호전달 단백질 mTOR(엠토르) 경로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으로 밝혀졌지만 진단율은 50%였다.

이 교수팀은 기존 유전자 진단에서 음성으로 확인된 환자의 mTOR 경로의 발현에 이상을 보이는 뇌 신경세포만 수집해 뇌전증을 진단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대상자는 기존방법으로 원인을 발견하지 못한 국소피질이형성증환자 19명. 이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30%에서는 국미량 돌연변이를, 20%는 mTOR의 억제 유전자인 GATOR1 복합체의 생식세포 돌연변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으로 기존 진단방식에 비해 진단 민감도를 약 24배, 유전 진단율은 80%까지 높일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연구팀은 "국소피질이형성증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난치성 뇌전증의 치료에 주요한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 성과는 KAIST 교원 창업 기업인 소바젠㈜을 통해 국소피질이형성증 환자의 정확한 유전자 진단을 돕고 해당 환자에서 돌연변이 유전자를 정밀 타겟하는 혁신 RNA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서경배과학재단, 한국연구재단, 보건산업진흥원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국소피질이형성증 유전진단율의 향상(초극소수준 체성돌연변이 검출법을 통해 전체 환자의 80%까지 진단율 높인다)
국소피질이형성증 유전진단율의 향상(초극소수준 체성돌연변이 검출법을 통해 전체 환자의 80%까지 진단율 높인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