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면역질환인 전신경화증에 아바타 모델을 활용하는 방법이 제시됐다. 항체의약품 투여시 치료반응을 예측하고 약물 효과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박성환(공동 교신저자)·박영재(공동 제1저자) 교수팀은 환자의 혈액면역세포를 쥐에 주입해 면역상태를 예측하는 아바타 모델을 만들었다고 국제학술지 '실험 및 분자의학'(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에 발표했다.

전신경화증은 손과 발, 피부, 체내 장기 등이 딱딱해져 치료하지 못하면 사망하게 되는 치명적인 질환이지만 치료약물이 없는 상황이다.

교수팀은 면역력 결핍 동물에 전신경화증 환자와 정상인의 혈액을 주입해 동물의 피부와 폐 조직에서 사람의 면역세포인 T세포와 B세포의 존재를 확인했다. 

전신경화증 환자에서 증가하는 자가항체(anti-ETAR ; endothelin-1 type A receptor)가 전신경화증 모델동물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환자의 면역 체계가 동물모델에 반영된 것으로 확인됐다.

환자 혈액 투여 동물모델의 폐와 피부 섬유화 지표가 정상인 혈액투여 동물모델에 비해 높았으며, 섬유화의 주요 인자인 TH17 세포와 IL-17 사이토카인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섬유화를 유도하는 사이토카인 억제 약물이나 섬유화가 진행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신호 조절 약물을 투여하자 면역세포 섬유화 진행이 감소됐다. 전신경화증의 약물효과를 확인하는데 적절한 동물모델임이 입증된 셈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