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가 없어도 퇴행성 뇌질환의 부피가 달라지면 치매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창형·손상준·노현웅 교수팀과 미국 피츠버그의대 하워드 아이젠스타인(Howard Aizenstein) 교수팀은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의 MRI데이터로 뇌나이를 측정한 결과, 실제 나이보다 많은 경우 치매 발생률이 높다고 국제학술지 Molecular Psychiatry(분자정신과학)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 뇌나이 측정에는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이다. 뇌의 부위 별 부피 변화로 나이를 예측할 수 있도록 치매가 없는 650명의 뇌 자기공명영상(MRI) 데이터를 학습시켰다.

그 결과, AI 예측 나이가 실제 보다 많은, 즉 늙은 뇌는 2년 후 치매가 발생할 확률이 그렇지 않은 뇌에 비해 약 150% 높았다.

이는 현재 치매의 조기 발견을 위해 널리 사용 중인 인지저하 예측 설문검사와 MRI 측두엽 시각측정법이 각각 22%와 57%에 비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치매의 약 7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병리 소견인 아밀로이드 양성률은 약 25% 더 높았다.

전세계적인 고령화에 치매환자는 늘고 있지만 관련 치료제는 개발은 더딘 실정이다. 얼마전 치매치료제가 최초로개발됐지만 미식품의약국(FDA)을 제외하면 승인된 지역이 없다. 약물 부작용 때문이다.

최근에는 이보다 효과적인 약물이 일본에서 승인을 받았지만 아직 초기 단계라서 현재 치매 관리는 위험요인인 신체질환·생활습관 교정, 인지저하시 조기에 약물치료 등에 주력하는 정도다. 

또한 보건소·병원·지역사회 등에서 실시하는 치매 선별 검사는 치매 관련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치매 유발 복합적인 요인을 선별하는 데 한계가 있어 새로운 예측 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이번 연구에는 삼성서울병원, 인하대병원, 부산대병원, 전남대병원도 참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