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편두통 유병률은 13%이며 여성이 남성의 약 3배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신경과 의사의 약 절반은 편두통을 경험하고, 남녀 간 유병률에 큰 차이가 없다고 보고됐다.

이런 가운데 노원을지대병원 신경과 김병건 교수와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조수진 교수 공동연구팀은 국내 신경과의사 442명을 대상으로 편두통 및 두통 유형별 발생률과 패턴 차이를 분석해 대한신경학회저널(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발표했다.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편두통 유병률은 49.8%로 매우 높았으며, 남녀 간 차이는 없었다. 또한 조짐편두통과 일차찌름두통의 유병률은 각각 12.7%와 26.7%로 높았다. 매우 드문 군발두통 유병률은 1.4%로 나타나 실제보다 진단율이 낮았다. 

신경과의사에서 편두통 유병률이 높은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편두통의 특성과 동반 증상을 잘 기억하고, 가족력, 유발 인자, 치료에 대한 반응 등 편두통의 여러 측면을 통해 두통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반면 일반인은 대부분 두통 발생 직후 진통제를 복용하기 때문에 편두통의 진단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드물게 발생하는 조짐편두통은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또 일차찌름두통이나 군발두통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아 편두통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흔해 비신경과 의사에 대한 두통 교육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편두통을 경험한 신경과의사는 환자에 대한  공감도는 높았지만 치료 패턴에서는 편두통 경험 유무와 큰 관련은 없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진료지침에 따라 치료하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