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에 사용되는 레보티록신. 임신부가 복용할 경우 태아의 신경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히 해명되지 않고 있다. 

이런가운데 임신부가 복용해도 조산위험은 약간 상승하지만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자폐스펙트럼장애(ASD) 발생과는 무관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홍콩중문대학 그레이스 제 박사는 자국의 출산코호트에서 모자 40만 1천여쌍을 대상으로 레보티록신과 조산과 저체중(SGA), ADHD, ASD의 관련성을 분석해 국제학술지 BMC Medicine에 발표했다.

임신부가 분비하는 갑상선호르몬이 태아로 이동해 특히 뇌발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때문에 임신부의 갑상선호르몬 저하증 발병은 태아의 신경발달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레보티록신 투여군(2,125명)과 갑상선호르몬수치가 정상이거나 비투여군(대조군, 39만 8,909명)으로 나누어 비교했다. 

투여군의 조산아는 256명(12%), 대조군에서는 3만 3,462명(8.4%)이었다. SGA는 1.93% 대 1.70%, ADHD는 4% 대 3.8%, ASD는 3.1% 대 2.7%였다.

임신부의 출산시 나이와 출생 의료기관, 정상분만 횟수, 산전 질병(당뇨병, 임신당뇨병, 뇌전증, 고혈압 등)을 조정해 조산아 및 SGA 오즈비를 구했다.

그 결과, 각각 1.22와 1.08로 조산 위험만 유의하게 관련했다. 임신 중 레보티록신 복용을 중단한 경우에도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다(각각 2.16, 1.05).

ADHD와 ASD의 상대 위험도를 구한 결과, 각각 1.10과 1.00으로 모두 유의차는 없었다. 임신중 레보티록신 복용을 중단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각각 1.39, 0.60).

제 박사는 "이번 연구로 임신중 레보티록신 복용이 조산위험을 높일 가능성은 부정할 수 없지만 갑상선호르몬 자체의 영향도 고려할 수 있다"며 "임신부 레보티록신 사용은 모자 양쪽의 득실을 충분히 평가한 후 검토해야 한다는 데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