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밴드와 스마트폰으로 재발성 우울증과 조울증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진단법이 개발됐다.

고대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헌정 교수와 조철현 교수, 성신여대 융합보안공학과 이택 교수 연구팀은 스마트밴드와 스마트폰 사용 패턴으로 우울증 및 조울증 재발을 93% 이상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정신의학 국제학술지(Psychological Medicine)에 발표했다.

연구 대상자는 국내 8개 병원의 주요기분장애(주요우울장애, 1형 양극성장애, 2형 양극성장애) 환자 495명. 이들의 활동량, 수면양상, 심박수변화, 빛노출 정도를 스마트밴드와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수집하고, 증상 변화와 우울증, 조증, 경조증의 재발 양상을 수개월에서 5년간 추적 관찰했다.

관찰 기간에 발생한 총 270회의 우울, 조증, 경조증 삽화의 양상을 인공지능(AI)으로 140개 생체리듬 관련변수로 전환시킨 후 기분삽화 재발 여부를 기계 학습시켰다.

3일 후 재발 예측 정확도를 AUC(곡선하면적)으로 측정한 결과, 우울증은 0.937, 조증은 0.957 경조증은 0.963로 높은 예측률을 보였다.

이 교수는 "환자가 모르는 사이에 재발하는 우울증, 조울증 특성 상 스마트밴드와 스마트폰만으로 측정된 일주기생체리듬만으로 재발을 예측하면 치료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 교수와 (주)휴서카디안은 재발예측 알고리듬을 탑재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비처방 디지털테라퓨틱스인 CRM(Circadian Rhythm for Mood)을 공동 개발했으며, 현재 예방 효과를 검증하는 임상시험을 전국의 5개 대학병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