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3잔 섭취로 최대 효과
원두, 인스턴트, 디카페인 동일
영국데이터 45만명 분석 결과
원두, 인스턴트, 디카페인 동일
영국데이터 45만명 분석 결과

커피가 부정맥과 심혈관질환(CVD)과 사망 위험을 낮춘다고 알려져 있지만 커피의 종류와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최근 호주 멜버른대학 데이비드 쳉 박사는 카푸치노와 원두 커피뿐 아니라 인스턴트나 디카페인 커피에도 CVD 위험 억제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유럽예방심질환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UK Biobank 데이터 중 약 45만명. 사용한 커피는 디카페인, 원두커피, 인스턴트 3종류. 이들과 부정맥, CVD, 사망 위험의 관련성을 검토했다.
나이와 성별, 음주, 비만, 흡연, 당뇨병, 고혈압 등을 조정해 분석한 결과, 가끔 커피마시는 대조군(10만 510명)에 비해 원두 및 인스턴트 커피를 하루 1~5잔 마시는 군에서 부정맥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 특히 원두커피 하루 4~5잔과 인스턴트커피 2~3잔섭취군에서 15~17%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디카피엔 커피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없었다.
CVD와 사망 억제 효과는 커피 종류를 불문하고 유의하게 낮았다. 특히 하루 2~3잔 섭취가 CVD와 사망 위험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CVD 위험 억제율은 디카페인이 6%, 원두커피 20%, 인스턴트가 9%였으며, 사망 위험 억제율은 각각 14%, 27%, 11%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