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력과 학력차에 따른 건강불평등이 코로나19 이후 심화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윤영호 교수팀(윤제연 교수, 한림대 심진아 교수)은 코로나 발생 전후와 주관적 건강 상태 및 사회경제적·인구학적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해 국제학술지인 BMC 공공보건(BMC Public Health)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성인 총 2,200명을 대상으로 2018년과 2022년에 신체 및 정신건강, 사회기능 및 대인관계 등 사회적 건강, 자원봉사 및 종교활동 등 영적 건강을 설문조사했다.

그 결과, '건강 상태가 아주 좋다'는 응답은 코로나 이전에 비해 코로나 이후 정신적 건강(2018년 38.71%, 2021년 35.17%), 사회적 건강(42.48% 대 33.28%) 모두 유의하게 감소했다.

이어 최종학력, 가계월수입 등 사회경제적 요인과 성별, 나이, 결혼 여부, 거주지역 등 인구학적 요인을 설문조사한 다음 2018년과 2021년의 이들 항목 분포 차이를 보정해 분석했다.

그 결과, 코로나 대유행 후 정신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은 가계월수입(3천달러 미만)과 최종학력(고졸 이하)이었으며 영향력은 코로나 이전 보다 증가했다.

가계 수입이 월수입 430만원 미만인 경우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1.8배에서 2.4배로,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1.7배에서 2.5배로 늘었다. 고졸이하 학력이 미치는 영향 역시 2.3배에서 2.6배로 높아졌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낮은 가계월수입과 교육수준이 정신적·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코로나 이전 보다 코로나 대유행 기간 동안 강해졌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신저자)는 "경제적 격차로 인한 건강 불평등이 코로나 위기로 악화할 것이라는 국민과 기업들의 우려가 실제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며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건강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도록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우선적으로 재정적 및 사회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