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환자 만큼 골밀도가 낮지 않은 골감소증 환자도 선별 치료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보의연)은 25일 골감소증 환자에 대한 약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골감소증 고위험환자에는 약제투여와 함께 보험급여 확대가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전세계적인 노령화로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유병률은 급증하고 있다. 보의연에 따르면 현재 노인 인구의 약 절반은 골감소증을 앓는다고 추정된다. 고관절 골절이 증가하면서 사회·경제적 부담도 급격히 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절 예방 치료의 필요성'으로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정희 교수(책임 연구자)와 보의연 윤지은 부연구위원이 참여했다.

연구 대상자는 건강보험공단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자 만 66세 여성. 분석 결과, 2007년 이후 골감소증 환자는 지속 증가했으며, 2019년에는 대상자의 절반을 차지했다. 골절발생률은 정상군 대비 골감소증과 골다공증환자 모두 높았다. 

2008~2009년 대상자에서 유의한 골절위험인자로는 낙상, 당뇨병, 뇌혈관질환, 천식, 과거골절력이었다.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 관련 국내외 문헌의 메타분석에서는 골감소증 환자에 골다공증 약제를 투여하면 비투여군에 비해 골절 발생 위험은 낮아지고 골밀도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에 근거해 연구팀은 "골밀도가 골다공증 수준으로 낮지 않아도 골절 고위험군만 선별해 치료하는 게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대한골대사학회와 대한내분비학회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에서도 골감소증환자에는 선택적 약제투여가 필요하고, 적극적인 투여를 위해서는 약제 보험급여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