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는 감염 문제뿐 아니라 비만 문제도 증가시켰다. 특히 소아청소년에서는 체중 급증과 함께 성조숙증 발생률도 높아져 자녀 키 성장에 고민하는 부모들도 늘어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성조숙증 소아청소년은 2021년 16만 6천여 명으로 2019년 10만 8천여 명에 비해 약 53% 증가했다. 

성조숙증은 또래보다 2년 빨리 사춘기가 나타나는 증상이다. 여아는 만 8세 이전, 남아는 만 9세 이전에 2차 성징이 나타난다. 남녀아 모두 체모가 생기며 여아에서는 가슴이, 남아는 고환 크기가 4mL 이상 발달한다.

성조숙증의 원인은 소아비만, 유전, 환경 호르몬 등 다양하다. 특히 소아비만은 성호르몬 분비를 늘려 키 성장이 빨리 진행됐다가 성장판이 일찍 닫히면서 키 성장이 일찍 중단된다. 결과적으로 최종 키는 작아진다. 

과체중이나 소아비만인 자녀를 둔  부모들은 키 성장이 중단될까봐 성조숙증 및 성장판, 뼈나이(골연령)와 성장호르몬 검사를 받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성장클리닉 키네스 김양수 대표원장[사진]에 따르면 성장판이 열려있어도 성장호르몬 분비가 정상이라도 그리고 성조숙증이 없어도 키가 잘 자라지 않는 경우가 있다.

어린이는 1년에 평균 약 6cm 이상 자라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최근 3개월 또는 1년간 키 성장 수치를 체크해야 봐야 한다. 아울러 다음 조건 중 3가지에 해당될 경우 검사가 필요하다.

△최근 1년 동안 5kg 이상 체중 증가 △만 10세인데 키가 140cm 이하 △1년간 키 성장이 4cm 이하 △초등학교 입학 시 키가 120cm 이하 △최근 성장 속도가 눈에 띄게 감소 △초경 이후 체중 급증 △성조숙증 의심 △구부정한 어깨와 거북목 △다리가 X자형, O자형 의심 △척추측만증 진단-인 경우다.

김 원장은 "키는 타고난다고 하지만 후천적 요소가 더 많이 작용한다"면서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 "유전적 요인보다 후천적 요인이 3배 더 큰 영향을 준다. 숙면, 적절한 운동, 균형 잡힌 영양, 그리고 스트레스와 생활습관이 자녀의 키 성장을 좌우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