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은 국내 사망원인 4위로 높지만 첫 방문 병원에서 치료받지 못하고 다른 병원으로 가는 전원율은 최대 45%로 높게 나타났다.

대한뇌졸중학회(이사장 배희준)는 1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 뇌졸중치료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위한 정책적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학회에 따르면 뇌졸중(뇌경색과 뇌출혈)의 사망원인은 4위이며 연간 약 10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뇌졸중의 약 76%는 뇌경색이 차지한다. 특히 60세 이상이 전체 환자의 78% 이상을 차지해 초고령사회를 앞둔 우리나라에서는 사회경제적 부담 증가가 불가피하다.

뇌졸중 치료에서는 병원전단계인 뇌졸중센터가 중요하지만 국내 상황은 열악한 상황이다. 힉회에 따르면 2016~2018년 발생한 뇌경색환자의 약 20%는 첫번째 방문 병원에서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고 다른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러한 상황은 지역 별로 큰 차이를 보여 제주도는 9.6%로 가장 낮은 반면 전남은 44.6%로 나타났다. 원인은 전문인력 부족과 뇌졸중센터의 지역 불균형이다. 학회 이경복 정책이사(순뇌천향의대 신경과)에 따르면 대형 복합쇼핑몰 분포와 비슷하다.

강지훈 병원전단계위원장(서울대병원 신경과)에 따르면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올해 5월 기준 215곳에 이르지만 표준치료할 수 있는 곳은 67곳뿐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적정성평가(2018년)에서도 전국 163곳 응급의료센터 가운데 24시간 진료가능한 센터는 113곳에 불과했다. 약 31%는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셈이다.

또한 구급대원이 이송 예상 병원에 뇌졸중 의심환자를 알리는 비율은 98%지만 정작 뇌졸중 진료 의료진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학회는 지역 편중 현상 해결책으로는 병원전단계 뇌졸중환자 이송시스템 강화와 중증응급의료센터 기반으로 뇌혈관질환 센터 구축을 들었다.

응급의료와 외상의 의료전달체계는 지난 1995년 관련 법률의 제정으로 어느정도 구축됐지만 심뇌혈관질환은 크게 뒤진 상황이다. 학회에 따르면 심뇌혈관질환 법률은 2016년 제정됐으며, 전달체계 구축도 전국에 13개 권역센터가 지정돼 있는 정도다. 그나마 정부의 재정지원이 줄어 명맥한 유지하는 상황이라고 학회는 설명한다.

학회에 따르면 2022년 보건복지부의 응급의료기금 예산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2,579억원이고, 암 관련 예산도 1,019억원이다. 하지만 중증 필수질환인 뇌졸중 관련 권역심뇌혈관센터 지원 예산은 71억원에 불과하다.

이경복 정책이사는 "변화하는 인구구조와 치료환경을 반영해 병원 전단계에서 적절한 기관으로 이송돼 적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치료의 질 관리를 위해 적절한 자원 배분도 반영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학회는 7월 2일 대한응급의학회와 함께 공청회를 진행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