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치매 진단에는 MRI(자기공명영상)로 해마의 위축 정도를 이용하지만 다른 진단기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건국대병원 영상의학과 문원진 교수팀은 맥락얼기 부피가 클수록 기억력과 자기통제, 계획 등 인지기능이 저하되며 알츠하이머 치매와 관련한다고 국제학술지 래디올로지(Radiology)에 발표했다.

맥락막총(脈絡膜叢, choroid plexus)이라고도 불리는 맥락얼기는 뇌실에서 발견되는 혈관과 세포의 네트워크다. 혈액-뇌척수액 장벽으로 면역세포에 대한 뇌관문 역할을 한다. 뇌척수액(CSF)을 생산하는 주요 장소로 뇌세포에서 노폐물과 독성 단백질을 제거한다.

문 교수에 따르면 알츠하이머 치매는 아밀로이드와 타우라는 비정상적 단백질의 축적과 그에 따른 신경 변성과 관련하는 만큼 맥락얼기의 청소 역할이 특히 중요하다. 학계에서는 아밀로이드와 타우의 과잉 생산보다 청소(clearance) 장애가 더 큰 원인으로 보고 있다.

문 교수는 인지저하환자 532명의 뇌MRI 영상에서 알츠하이머치매가 확인된 147명을 분석했다. 이 가운데 132명은 역동적조영증강(DEC) 영상도 확보했다.

이들의 맥락얼기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맥락얼기 부피가 클수록 기억력과 자기통제, 기억력을 관장하는 광범위한 정신능력인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맥락얼기 투과성은 경도인지장애에 비해 알츠하이머치매에서 낮았다. 

문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아밀로이드와 맥락얼기의 부피의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다"면서도 " 맥락얼기 부피가 인지장애 정도와 독립적으로 관련한다는 사실은 입증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연구의 의미에 대해 "기존 알츠하이머치매를 진단하는 MRI 역할이 해마의 위축이나 혈관성 병변 감지 뿐만 아니라 맥락얼기의 이상(혈액-뇌척수액장벽의 이상)까지 확대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