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의 배우자는 일반인 보다 치매 발생 위험이 2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팀은 치매부부를 대상으로 11가지 치매위험인자를 추적관찰해 미국의학협회지(JAMA Network Open)에 발표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치매환자의 배우자는 일반인 배우자에 비해 기억력, 언어인지 등 정신적인 능력이 빠르게 감퇴한다. 치매를 발생시키는 생활습관을 공유하면 배우자 역시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김 교수에 따르면 치매 발생 원인의 약 40%는 난청, 교육수준, 흡연, 우울증, 사회적 고립, 외상성 뇌손상, 신체활동, 고혈압, 거주환경(대기오염), 비만, 과음, 당뇨 등 부부가 공유하기 쉬운 인자들이다. 다만 이 가운데 어떤 인자가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이는지는 밝혀낸 연구는 없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한국인의 인지 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KLOSCAD) 참여자 부부 784쌍. 모두 60세 이상이며 교육수준, 신체활동, 흡연, 외상성 뇌손상, 우울증 등 치매 위험인자를 공유하고 있었다. 

대기오염을 제외한 11가지 인자를 2년마다 추적관찰한 결과, 배우자가 치매면 본인도 걸릴 위험이 일반인 보다 2배 높았다. 여러 인자 가운데 특히 신체활동부족과 우울증심화가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치매 환자의 배우자에도 인지장애와 우울증에 대한 교육과 정기검진, 그리고 부부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면 치매 환자의 경과를 개선시키고 배우자의 발생 위험 억제에 도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