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황반변성 주사치료의 보험급여 확대가 환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안과 정은지 교수 연구팀은 건보공단 데이터(2010~2019년) 산정특례코드 환자(40세 이상)를 대상으로 주사제 이용과 급여 확대에 따른 치료행태 변화를 분석해 발표했다.

연구제목은 '황반변성 치료제 건강보험 확대 이후 습성 황반변성의 치료경향과 안전성에 관한 연구'. 이에 따르면 10년간 인구 1만명 당 황반변성 유병률은 39.3%에서 50.8%로 증가했다.

유병률은 연령에 비례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현재 황반변성에 대한 보험급여 기준은 황반하 신생혈관을 가진 경우와 최대 교정시력이 0.2 이상인 경우다.

주사치료 보험 적용 범위를 첫 5회 한정에서 무제한으로 확대하면서 주사 횟수는 급증했다. 주사횟수 분포 역시 급여횟수 상한선에서 높았다.

이에 대해 정 교수는 보험급여 확대로 주사치료가 필요한 황반변성환자가 보험급여 혜택을 더 받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반면 같은 기간 신규환자의 주사치료 시행률은 약 65%로 변화가 없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나머지 35% 대부분 비급여 치료를 받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보험 급여 주사 횟수는 점진적으로 확대됐지만 여전히 기준이 존재하는 만큼 치료가 필요해도 부득이하게 비급여주사치료를 받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정 교수는 "황반을 포함하지 않는 신생혈관을 가진 황반변성의 경우 치료 여부에 따라 시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황반곁에 신생혈관을 가진 경우를 급여대상에 포함하는 등 적응증을 확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물론 고가인데다 반복 주사해야 하는 만큼 의료비용 증가도 고려해야 한다. 정 교수는 "특허 만료가 임박한 치료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약제 개발 및 사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면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의료비 절감과 치료의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 나타난 주사제 별 안내염 발생률 분석에 따르면 평균 발생률은 0.0194%이며 발생 연두에 따른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주사제 별로는 루센티스가 0.014%, 아일리아에서 0.0254%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