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낮고 비수도권에 거주하며 기저질환이 많을수록 지역사회의 치매관리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치매학회는 건강보험공단 데이터(2002~2018년)로 지역사회 치매관리 비율을 조사해 국제학술지 임상신경학저널(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발표했다.

치매환자는 진단 초기에는 개인 및 친인척, 주간보호센터 등의 지역사회에서 약물치료와 인지중재치료 등의 관리를 받는다.

이후 증상이 악화되거나 합병증이 생기면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입원 또는 입소하는데 이때부터 관리 비용이 급증하게 된다. 

지역사회 관리란 환자가 사망하거나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3개월 이상 입원 또는 입소 외의 경우를 말한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치매환자 54만 9천여명. 2003년 부터 치매로 진단받은 환자를 15년간 추적관찰한 결과, 지역사회 관리기간은 평균 5.98년이었다.

아울러 소득이 적고 비수도권에 거주하거나 기저질환이 많은 경우 지역사회 관리 비율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 빅데이터 연구팀의 최호진 교수(한양대구리병원 신경과)는 이번 연구에 대해 "공공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의 성과 분석과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