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환자의 심부전과 사망위험 억제에는 운동이 필수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최의근 교수팀(이소령 교수, 안효정 전임의)과 숭실대 한경도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로 심방세동 환자의 운동습관 및 뇌졸중·심부전·사망 위험의 관련성을 분석해 국제학술지 '플로스 메디슨'(PLOS Medicine)에 발표했다.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경우를 부정맥이라고 하고 그 중 하나가 심방세동이다. 국내 고령자의 유병률은 약 10%로 높은 편이다. 심방세동 환자는 뇌졸중 발생 위험이 5~7배, 심부전은 2배, 사망은 1.5~3.5배 높다고 알려져 있다. 

심방세동 예방에는 운동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고 심방세동환자 대상으로 운동과 재발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가 많이 보고됐다. 하지만 심방세동 진단 후 운동습관 변화에 따른 심혈관질환의 정보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심방세동환자 6만 6천여명. 지속적 비운동군과 신규 운동군, 운동중단군, 운동유지군 등 4개군으로 나누고 운동습관에 따른 뇌졸중, 심부전 사망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속적 비운동군 대비 신규운동군과 운동유지군 심부전 위험은 각각 5%, 8% 낮았다. 사망위험은 운동중단군 17%,  신규운동군 18%, 운동유지군 39%로 감소했다. 뇌졸중은 운동군에서 최대 14% 낮았다.

심방세동환자의 심혈관계질환 및 사망위험 억제와 관련성이 높은 운동은 속보, 자전거, 조깅, 에어로빅, 등산으로 확인됐다. 속보는 중등도 강도로, 자전거는 보통 속도로, 엎드려 걸레질 등은 1주일에 170~240분이 적당했다. 조깅과 에어로빅, 등산은 1주일에 140~210분이 최대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심방세동 환자 대상으로 운동과 심혈관계 질환 및 사망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 심방세동 신규 환자에게 심박 수가 빨라지는 운동이 해롭지 않다는 과학적 근거가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