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이 불가능해 항암치료만 받아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지는 진행성 암환자. 재활치료가 더욱 필요하지만 국내에서는 극히 일부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양은주 교수팀(공동 제1저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조송희 부연구위원, 국립암센터 정승현 교수)은 신규 진행성 암환자 96만여명의 재활치료율을 분석한 결과, 6.4%라고 밝혔다. 100명 당 약 6명이 재활치료를 받는 셈이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된다.

진행성 암은 수술로 암 조직을 제거하기 어렵고 주변의 다른 장기나 조직으로 전이돼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수술이 어려운 만큼 항암치료만 받게 되면서 환자는 보행능력을 비롯해 통증, 손발 저림, 근력 악화, 우울감 등 다양한 증상으로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진다. 진행성 암환자에게 신체 기능을 유지하는 재활치료가 필요한 이유다. 

교수팀에 따르면 진행성 암환자의 30% 이상이 중등도 이상의 장애를 겪으며, 암 재활치료가 전반적인 신체기능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 미국에서는 진행성 암환자의 88%에서는 재활치료가 필요하고 이 가운데 21%는 치료를 받고 있다. 일본도 해당 재활치료 서비스를 위한 법안을 마련하고 의료수가를 신설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교수팀은 "뇌종양이나 골육종의 재활치료율은 28%로 전체 평균을 웃도는데 이는 다른 암종과 달리 재활치료 의료보험수가 기준이 마련돼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진행성 암질환의 재활치료 활성을 위해서는 수가기준 마련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또한 환자의 기능저하를 중심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세계보건기구(WHO)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기 어려운 현실도 낮은 이용률의 원인으로 꼽힌다.

진행성 암의 경우 다양한 기능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환자별 증상에 따라 접근을 달리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질환마다 정해진 증상에 대해서 재활치료를 실시하는 '질환명 중심' 의료 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진행성 암환자의 보행장해(障害), 근력저하, 피로, 일상생활기능 장해 등 광범위 기능저하에 적절한 재활치료를 제공하기 어려운 이유다.

정승현 교수는 "진행성 암환자에 대한 재활의료 수준을 높이려면 의료체계의 변화, 수가 기준 확립 등 정책적 지원이 필수"라며 "국가암관리종합계획에서 암 재활치료의 활성화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양은주 교수는 "진행성 암환자의 생존율과 암 치료 후 생존기간이 늘어나는 만큼 재활치료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