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을 안 잠가 도둑이 들 것 같다' '가스 불을 잠그지 않아서 불이 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계속 확인하는 행동을 강박증이라고 한다.

강박증환자는 일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인지기능 중 하나인 집행기능에 손상을 보이며, 이를 평가하는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검사자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크다.

이런 가운데 서울대병원 권준수·김민아 교수팀은 안구움직임으로 강박증환자의 인지기능을 쉽고 빠르게 평가하는 방법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연구 대상자는 강박증환자 104명과 일반인 114명. 이들에게 복잡한 도형을 보여준 다음 기억하는 레이복합도형 검사[그림]를 3분간 실시한 결과, 강박증환자는 재현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집행기능이 손상된 강박증 환자(왼쪽)와 비교적 덜 손상된 환자(오른쪽)가 레이복합도형을 외우는 동안의 눈동자 움직임을 나타낸 그림. 오른쪽 그래프의 수치는 눈동자가 머무르는 시간(1/1000초)[서울대병원 제공]
집행기능이 손상된 강박증 환자(왼쪽)와 비교적 덜 손상된 환자(오른쪽)가 레이복합도형을 외우는 동안의 눈동자 움직임을 나타낸 그림. 오른쪽 그래프의 수치는 눈동자가 머무르는 시간(1/1000초)[서울대병원 제공]

이 과정에서 양쪽군의 안구움직임을 비교한 결과, 강박증환자는 일반인 보다 좁은 범위의 도형 내 구조에 장시간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집행기능 손상이 심할수록 머무르는 시간도 길었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강박증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손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에도 확대 적용돼 실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간편한 바이오마커 기반 인지기능 평가도구 개발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