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두드러기의 치료와 재발 위험인자가 규명됐다.

아주대병원 알레르기내과 예영민 교수팀은 약 2천 명의 만성두드러기 환자를 21년간(1997~2017) 추적 관찰해 국제학술지 천식·면역학연구저널(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에 발표했다.

교수팀은 대상자를 3개월 약물치료 점수에 따라 낮은 군(1군)과 높아졌다가 낮아진 군(2군), 중간단계 유지군(3군), 계속 상승군(4군) 등으로 나누어 비교했다.

그 결과, 알레르기항체인 면역글로불린(lg)E 수치와 연령, 말초혈액 백혈구, 호중구 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호산구와 호염기구 분율이 낮을수록 중증일 가능성이 높았다.

완치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4.3년이고 1군은 2.1년인데 비해 4군은 9.4년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10년내 완치율은 증상이 가벼운 1, 2군에서는 70%인 반면 4군에서는 53%였다. 이밖에도 여성, 집먼지진드기에 강한 반응을 보인 경우 완치율이 낮았다. 

완치 환자의 약 20%는 추적기간 동안 1회 이상 재발했으며, 항히스타민제 외 스테로이드, 면역조절제 등 다른 치료제가 필요한 환자에서 재발률이 높게 나타났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