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종양의 일종인 신경교종을 치료한 후 개인 별 맞춤형 검사를 실시하면 사회 및 의료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박철기·서울대 통계학과 김용대 교수팀은 표준치료를 마친 신경교종 환자에게 수학적 모델링 기법으로 환자 별 최적의 MRI 촬영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고 신경종양학 분야 국제학술지 신경종양학(Neuro-Oncology)과 신경종양학 어드벤스(Neuro-Oncology Advances)에 발표했다.

암환잔느 수술이나 방사선, 항암 치료를 끝내면 자기공명영상(MRI)으로 경과를 관찰하는데 신경교종 환자 역시 마찬가지. 하지만 정해진 검사 주기는 없어 의사의 주관적 판단 하에 2~4개월에 한번 씩 약 2년간 실시하는게 일반적이다.

연구팀은  수학적 모델링 기법을 사용해 치료 후 암환자의 적절한 MRI 검사 주기를 확인해 보기로 했다. 

대상자는 병이 진행되지 않고 생존한 신경교종환자 511명. 이들의 그래프를 일정 간격으로 등분화하고 재발 여부를 확인하는 등 개별지수 측정을 통해 환자 별 최적화된 검사 주기를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은 치료 기준과 조직 및 유전자 진단, 잔여 종양 유무에 따라 맞춤형 스케줄을 제시해 준다"면서 "MRI 추적관찰 스케줄을 정교하게 정하면 재발에 대한 조기발견은 물론 의학적, 사회적 비용 낭비를 줄여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철기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MRI 뿐만 아니라 다른 진단법의 추적관찰 스케줄을 짜는 데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에는 서울대병원 외에도 분당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국립암센터, 화순전남대병원의 연구진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