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치료법의 발전으로 최근 20년간 투석환자의 사망률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사망원인의 절반은 심혈관질환으로 나타났다.

대한신장학회(이사장 양철우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가 21일 발표한 투석환자 사망률의 변화와 사망원인 분석(2001~2019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사망원인 1위는 심혈관질환(47%)이었다. 이어 감염(23%), 암(5.2%), 간질환(2.3%) 순이었다.

심혈관질환 중에서도 부정맥, 심장판막질환, 심부전 등 심질환이나 심정지에 의한 사망률이 심근경색, 협심증 등 허혈성심질환 사망률 보다 높았다.

투석환자 사망률은 20년새 크게 줄었다.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사망률(1천인년)은 122.5명에서 45.2명으로 감소했다(혈액투석 119.3명→45.1명, 복막투석 121.6명→51.3명). 5년 생존율도 꾸준히 증가해 각각 69%에서 77%, 52.4%에서 71.5%로 높아졌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가톨릭의대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는 "투석환자의 생존율은 높아졌지만 심혈관계 합병증은 여전히 해결할 숙제임이 확인됐다"면서 "투석환자는 당뇨와 고혈압 고지혈증 등과 함께 투석치료와 관련한 요독증, 혈관석회화, 대사성산증 등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까지 적극적으로 조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